
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는 취급시설 영향범위 평가를 통해 사업장의 위험도를 결정합니다.
사업장의 위험도는 KORA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산정되지만 그 산정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1. 위험도 분석 대상
- 사고시나리오(장외 영향이 있는 시나리오)
2. 검토 요소
1. 사고시나리오 개수
- 사고시나리오 규정수량 이상인 시나리오 중 장외영향이 있는 시나리오의 개수
2. 사고시나리오 시설빈도
- 사고시나리오별 사고빈도의 총합
KORA프로그램에서 사고시나리오별 시설빈도(별지 제13호 서식) 보고서 출력시 확인 가능하며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.

3. 사고시나리오 거리
- 사고시나리오별로 사업장 부지경계로 부터 외부 영향을 미친 직선거리를 모두 합한 값
4. 사고시나리오 영향범위 내 주민수
- 각 사고시나리오별 장외영향범위 내 포함된 거주민수+근로자수
- 장외영향범위 내 사업장이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경우, 근로자수는 포함시키지 않는다
- 장외영향범위가 중복되는 경우, 주민수는 중복 합산한다
3. 위험도 판정
위 4가지 요소를 구간별로 점수화하여 사고빈도점수, 사고영향점수를 산정하고, 그 결과에 따라 최종 위험도를 결정한다.
1. 사고빈도점수
= 사고시나리오 개수 구간점수 + 개시사건 고장빈도 구간점수

2. 사고영향점수
= 사고시나리오 거리 구간점수 + 영향범위 내 주민수 구간점수

3. 위험도 판정표
- 사고빈도점수(가로축)와 사고영향점수(세로축)으로 구성된 위험도 판정표에 각 점수를 대입하여 최종 위험도가 가,나,다 중 결정됩니다.

위험도 분석 결과는 KORA 프로그램의 위험도 분석 창에서 확인 가능합니다

4. 위험도 증감요인
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검토 시 검토자는 위험도 구간점수 증감요인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위험도를 결정한다.
1. 위험도 증감 범위
- 위험도 구간점수 증감요인은 도출된 사고빈도점수와 사고영향점수의 합에 적용된다.
- -2점부터 +2점까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
- 증감요인의 적용으로 인해, 두 단계 이상의 위험도 등급변화를 줄 수 없다.
2. 위험도 구간점수 증가요인(최대 2점)
- 총괄영향범위 내 갑종 보호대상이 1개 이상 있을 경우 +1점 (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외벽으로부터 보호대상까지의 안전거리 고시」별표 2 및 별표 3에 따른)
- 총괄영향범위 내 환경수용체가 1개 이상 있을 경우 +1점 (하천, 산림지 및 유적지 등)
3. 위험도 구간점수 감소요인(최대2점)
-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이상의 수동적·능동적 완화장치를 의미 (비산방지쉴드, 방호수막/물분무, 지하용기 등)
5. 위험도 결정
- 가 위험도: 위험도 판정표 점수와 위험도 증감요인 점수 합이 10점 이상인 경우(10, 11, 12점인 경우)
- 나 위험도 : 위험도 판정표 점수와 위험도 증감요인 점수 합이 6점 이상 10점 미만인 경우(6, 7, 8, 9점인 경우)
- 다 위험도 : 위험도 판정표 점수와 위험도 증감요인 점수 합이 5점 이하인 경우
이상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위험도산정 매커니즘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.
Share article